윈도우 software raid 는 현재 monitor 툴이 없다.

sf.net 에서 찾은 winraidmonitor 는 java 로 diskpart 실행한 결과를 바탕으로 raid 상태를 알아낸다.

gmail 을 포함한 메일을 통해 상태를 전달해준다.


현재 영문 윈도우에서만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비영문 윈도우를 지원하기 위해 run.bat 파일을 보면 파라메터가 있기는 하나 제대로 작동 안하는듯하다.

한글 윈도우에서 사용하려면 제어판에서 표시를 english 로 바꾸어야한다.



WinRaidMonitor.zip


 

참고로 run.bat 파일에 codepage 를 변경하는 것을 추가하면 더 잘 동작한다.

 

chcp 437

 

 

,

웹서버를 운영하다 보면 기본 서버가 다운될 때가 있다.

이럴때 백업 서버로 빨리 연결해 주면 좋은데 DNS 주소를 자동으로 변경해주는 서비스가 DNS failover 서비스이다.


Amazon 의 router53

http://aws.amazon.com/ko/about-aws/whats-new/2013/02/11/announcing-dns-failover-for-route-53/


DNSMadeEasy

http://www.dnsmadeeasy.com/services/dns-failover-system-monitoring/


두군데에서 이 서비스를 제공한다.


비용은

http://www.dnsmadeeasy.com/home/compare/

에서 비교해 놓았는데


DNSMadeEasy 는 10개 도메인 비용이 1년에 30$ , Failover 서비스는 도메인당 5$

Amazon 은 1개 도메인 비용이 1달에 0.5$ = 1년에 6$, Failover 서비스는 무료


결국 1개 도메인 정도 사용한다고 보면 amazon 이 유리하다.



Amazon 에서 설정해 보았는데,

1) A record 를 sshan.net 과 *.sshan.net 를 primary 로 설정하고 각각의 백업 서버를 secondary 로 설정하였다.

type 을 failover 로 설정하고 health state 체크하는 것은 아래 설정한 것을 선택해서 하였다.



Health state 설정은 따로 있는데 다음과 같이 각각의 주소별로 하나씩 하였다.


비교적 직관적이지만 해본 적이 없다면 아래 주소를 참고하면 자세히 나온다.


http://aws.typepad.com/aws/2013/02/create-a-backup-website-using-route-53-dns-failover-and-s3-website-hosting.html



,

내가 좋아하는 짐 로저스의 "Street Smarts" 를 어제 다 읽었다. 몇가지 재미있는 부분이 있는데,
우리나라에서 좋은 교육 시스템이라고 생각하고 이민가는 미국 교육 시스템은 로저스가 보기에는 엉망이다. 비싼 돈만 들고 아무 것도 가르치는 것이 없고 경쟁이 없기 때문에 아시아의 빡센 교육 시스템이 훨씬 낫다. 그래서 그는 싱가폴에서 자녀 교육 시키는 것에 만족한다.
중국이 훨씬 자본주의적이다. 부패도 미국보다 덜하다. 중국에서는 부패한 사람은 사형을 받지만 미국은 처벌없이 로비스트가 지배한다. 각종 규제도 미국이 더 많아서 투자하기 힘들다. 중국이 부패하다는 것은 뉴스 자료만 본 편견일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음.
요즘의 경제위기는 빚상황능력 부족이 중요한 원인이다. 그린스펀과 버냉키가 열심히 돈을 찍지만 결국 부채가 문제가 되서 크게 한건 터질 것이다. 방만한 기업을 찍은 돈으로 연명시키는 것이 일본식 불황의 원인이다.
나라가 발전할지 아닐지는 그 곳을 여행해보면 안다. 뇌물을 요구하는지 사회간접시설이 제대로 구축되어 있는지. 이야기로 들어서는 알 수 없고 직접 가봐야 한다는 것이 포인트.
그 외에는 이전부터 그가 쭉 말했던 상품시장 강세, 화폐가치의 하락, 아시아의 부상 등이다.

'경제 이야기~ > 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진국 목록  (0) 2023.11.04
개인 사업자 사업 대금 CMA 로 관리하기  (0) 2014.03.14
금 투자  (0) 2010.12.10
더블딥  (0) 2010.08.16
자동차 구입 채권 매입  (0) 2010.08.15
,

adblock 이 광고를 차단하면 adsense 하시는 분들 입장에서는 난처한 일이지요.

이럴 경우에 다른 메세지를 출력하거나 다른 페이지로 이동시키는 방법입니다.

 

jquery 가 없으면 실행되지 않으므로 jquery 아무 버젼이나 구해서 삽입.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XXXXXXXXXXXXX/jquery-1.4.2.min.js">
</script>


<div class="adsense">

#### ADSENSE 광고 CODE ####

</div>

<script type="text/javascript">

$(document).ready(function(){

setTimeout("checkAds();", 100);

});

function checkAds() {

if ($(".adsense").height() == "0") {

$(".adsense").after("<div class='alt'><h3>광고가 싫으십니까?</h3><p>하지만 이 site 가 유지는데 필요한 여러가지 비용이 광고수입으로 충당되고 있습니다.</p><p>Adblock 설정에서 이 도메인을 빼주시길 부탁드립니다.</p><p>-주인장</p></div>");

}

}</script>

 


 




,

원문은

http://bittalk.org/threads/22777/



평소 다운로드나 시딩 자체는 잘 되는 것 같은데 (이게 안된다면 이 글에서는 해결해드릴 수 없습니다;;)

어째 swarm 수에 비해 연결이 잘 안된다고 느끼신 적이 있나요.

왓시디에서 업로드는 내가 했는데 두번째 시더가 된 넘이 이후 업로드를 다 먹어버려서 속상하신 적이 있나요.

원래 시더 수가 한 자리 정도면 다음과 같이 peer swarm 대부분과 연결되어 있어야 정상인데요.

[IMG]

(괄호 앞에 있는게 연결된 peer 수, 괄호 안에 있는게 전체 peer 수입니다)

peer 윈도우에서 연결이 어째 되는 듯 하다가 계속 끊어지는 것이 보인다면 십중팔구 이유는 이것입니다.

Peer 까지의 연결 경로 사이의 어떤 라우터가 '토런트 연결을 차단한다' 라는 감시 기능을 켜놓고

연결이 토런트인게 확인되는 족족 끊어버리거나 속도를 팍 낮춰 버리기 때문이죠.

특히 해외쪽 라우터에 이런 그지같은 차단 설정이 많이 돼있는데... -_-

다행히 이걸 회피할 방법이 있습니다.

[IMG]

프로토콜 암호화를 '있음' 으로 설정하시면 고민 끝.

토런트로 주고 받는다는 것이 발각되지 않도록 연결을 암호화해서, 가능한한 연결이 실패하지 않도록 해줍니다.

그럼 이걸 켜면 무조건 좋으냐.. 하면, 그건 아니고, 대신 CPU를 조금 더 잡아 먹는게 단점인데요.

(그래서 디폴트가 '없음' 이죠)

뭐 워낙 uTorrent가 사양을 안타는 편이라, 대부분의 경우 문제는 없을 거라고 생각됩니다.

해외 트래커 많이 사용하시고, 킴수피와 경쟁하시는 분들께는 필수 설정입니다.

ps. 가끔 설정을 '있음'으로 해도 연결이 안되는 Peer가 있는데, 이럴 때는 '강제'로 설정하시면 연결이 되기도 합니다.
다만, 이걸 '강제'로 해두면 암호화 안하는 Peer와는 연결이 아예 안되기 때문에 오히려 최대 연결 가능한 Peer 수는 줄어든다는 점을 주의하세요.



,

E-cfg 이라고 실행하면 바로 IP 주소와 MAC 주소를 보여준다.

 

 

 

 

E-IPConfig.exe

 

,

javascript 를 읽기 전에 페이지가 로딩되어야 브라우저에서 빠르게 렌더딩해서 결과를 보여준다.


jquery 등 대부분의 javascript 는 비동기식으로 로딩이 가능하다.




<script type="text/javascript">

 // Add a script element as a child of the body

 function downloadJSAtOnload() {

 var element = document.createElement("script");

 element.src = "YOURJAVASCRIPT.JS";

 document.body.appendChild(element);

 }


 // Check for browser support of event handling capability

 if (window.addEventListener)

 window.addEventListener("load", downloadJSAtOnload, false);

 else if (window.attachEvent)

 window.attachEvent("onload", downloadJSAtOnload);

 else window.onload = downloadJSAtOnload;

</script>



아래는 google.com 의 원문

https://developers.google.com/speed/docs/insights/BlockingJS


Defer loading of JavaScript

In most cases, the bulk of the JavaScript code handles user-initiated events, such as mouse-clicking and dragging. All of these user-triggered events occur after the page is loaded and the onload event is triggered. In order to defer loading of these JavaScripts insert a JavaScript event listener in the head of the containing document that forces the external file to be loaded after the onload event. We recommend adding a very simple scripted DOM element. Here’s an example, where deferredfunctions.js contains the resources that need to be deferred:

<script type="text/javascript">
// Add a script element as a child of the body function downloadJSAtOnload() { var element = document.createElement("script"); element.src = "deferredfunctions.js"; document.body.appendChild(element); }
// Check for browser support of event handling capability if (window.addEventListener) window.addEventListener("load", downloadJSAtOnload, false); else if (window.attachEvent) window.attachEvent("onload", downloadJSAtOnload); else window.onload = downloadJSAtOnload;
</script>


,

table_name / field_datetime 부분만 바꾸면 된다.


SELECT * FROM `table_name` WHERE `field_datetime`>=(CURDATE()-INTERVAL 3 DAY);


,

apache 에서 http 를 compression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mod_deflate 사용법.


1)

http.conf 에


LoadModule deflate_module modules/mod_deflate.so


<ifModule mod_deflate.c>

    <filesMatch "\.(js|css|html|php)$">

        SetOutputFilter DEFLATE

    </filesMatch>

# Netscape 4.X has some problems

        BrowserMatch ^Mozilla/4 gzip-only-text/html

 

# Netscape 4.06-4.08 have some more problems

        BrowserMatch ^Mozilla/4\.0[678] no-gzip

 

# MSIE masquerades as Netscape, but it is fine

        BrowserMatch \bMSIE !no-gzip !gzip-only-text/html

</ifModule>



추가한다.



2)


http://www.whatsmyip.org/http-compression-test/


에서 테스트 해본다.

,

1) 영문판

SetupConsumerC2ROLW-en-us.exe


2) 한글판

SetupConsumerC2ROLW-ko-kr.exe


3) 참고로 파워포인트 뷰어

http://www.microsoft.com/en-us/download/details.aspx?id=13


,